16일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이 공정위로부터 입수한 자료를 보면 공정위는 지난 2019년 8년 입점업체 임대차 계약의 최소보장임대료 관련 약관 조항이 불공정하다는 내용의 심사 청구를 접수했다. 당시 서울 마포구 AK& 홍대 쇼핑몰의 입점업체 6곳은 이런 임대차 계약 조항이 임차인의 부담을 과도하게 키운다고 주장했다. 매출이 안 나와도 일정 수준의 임대료를 내야 하고, 매출이 잘 나오면 임대료도 함께 오르니 불공정하다는 이야기다.

지난해 기준 신세계 스타필드는 입점 계약의 91.8%를 최소보장임대료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 안성시 스타필드 매장. 뉴스1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아웃렛ㆍ복합쇼핑몰 입점 계약 중 10.3% 가 최소보장임대료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신세계 스타필드의 경우 91.8%가 최소보장임대료 방식으로 계약했다. 대형마트는 4.2%가 이에 해당한다.

매출 적으면 최소보장임대료 오히려 유리.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실제 공정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매번 일정 금액을 내는 정액제 임대료와 최소보장임대료 방식을 비교할 경우 매출이 적은 구간에서는 최소보장임대료가 오히려 임차인에 유리하다. 통상적으로 임대차 계약에서 최소보장임대료를 정액 임대료보다 낮게 설정하기 때문이다. 정액제는 매출액이 임대료보다 많아져야만 이익이 난다. 정률제 임대료의 경우 애초에 임대료를 싸게 책정하는 계약의 경우에만 정률제가 임차인에 유리하고, 반대의 경우 최소보장임대료가 유리하다.

매출 적으면 최소보장임대료 오히려 유리.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정부와 여당이 제도의 벽에 부딪혀 업계의 자발적 협조에 의존하는 가운데, 소상공인 입점업체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희곤 의원은 “최소보장라는 이름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소상공인에게 임대료는 여전히 큰 부담”이라며 “입점업체와 건물주 간 상생협약을 넘어 지속적인 보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

https://ift.tt/3gwJe90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단독]건물주 배불린다던 최소보장임대료···공정위 "문제없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Post a Comment